ccdaemon 프로그램 정체, 삭제해도 되는가?

ccdameon 프로그램, 대체 정체가 뭐지?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작업 관리자나 시작 프로그램 목록에서 생소한 이름의 프로그램을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ccdaemon’입니다. 직접 설치한 기억이 없는데 등록돼 있어 의아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ccdaemon은 한국전자인증 사이트에서 공인인증서를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이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UniSign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의 일부 구성 요소로, 인증서 이동을 진행할 때 자동으로 설치되는 방식입니다.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는 이유

인증서 이동 작업이 끝난 뒤에도 ccdameon은 시스템 시작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별히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는 아니지만, 굳이 계속 켜둘 필요는 없겠죠?

  • 인증서 이동 외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시스템 자원만 차지하게 됩니다.
  • 부팅 속도나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고 싶다면 삭제를 추천합니다.

ccdameon 프로그램 삭제 방법(윈도우 11 동일)

위 프로그램 삭제와 동시에 다른 쓸모없는 프로그램 제거방법도 따라하시면
컴퓨터가 훨씬 빨라진것을 체감하실수 있습니다!

다음은 단계별로 ccdameon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방법입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ccdaemon’이라는 이름으로는 삭제 항목이 표시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윈도우 11도 똑같이하면 됩니다

1단계: 앱 및 기능 (설치된 앱) 실행

  • 작업 표시줄 하단 돋보기 버튼 클릭
  • 또는 Windows 키를 누르고 ‘앱 및 기능’ 입력 후 실행

2단계: crosscert 프로그램 찾기

  • 앱 목록을 스크롤해서 확인
  • ccdameon 대신 ‘crosscert’라는 이름으로 등록돼 있습니다

3단계: crosscert 삭제

  • crosscert 항목 클릭 → ‘제거’ 버튼 클릭
  • 안내에 따라 삭제 진행

4단계: 재부팅 후 확인

  • 컴퓨터를 재부팅
  • 작업 관리자 →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ccdameon이 더 이상 없는지 확인

삭제해도 괜찮은가?

네, 삭제해도 컴퓨터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인증서 이동 기능만 사용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이므로, 필요하지 않다면 삭제해도 무방합니다.

  • 공인인증서 이동 기능이 필요하다면 나중에 다시 설치하면 됩니다.
  • 보안상 문제도 없으니 안심하고 삭제하셔도 됩니다.

마무리: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 정리로 컴퓨터 최적화

평소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면 시스템 속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ccdaemon처럼 정체가 애매한 프로그램은 한 번쯤 확인하고, 필요 없다면 정리해두면 쾌적한 컴퓨터 환경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시작 프로그램 목록을 가끔 확인하는 습관도 추천드립니다!